본문바로가기

환경경영방침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PI첨단소재는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의 권고안을 참고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 요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는 저탄소 경제 등 산업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책 및 법률·기술·시장·평판 변화에 따른 ‘전환 리스크’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영향에 관한 ‘물리적 리스크’로 구분됩니다. 각 리스크들의 재무적 영향과 대응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속가능경영체계를 확립하고, 그 영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갈 예정입니다.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PI첨단소재 ESG전담팀은 연 1회 이상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는 발생 시점(단기, 중기, 장기)과 위험 및 기회의 크기(재무적 영향, 대응의 긴급성, 향후 경영 영향성) 등의 기준으로 평가가 진행됩니다. 이후 리스크에 대한 실무팀과의 협의를 통해 대응 방향을 구축하고, 기회 요인 탐색을 통해 새로운 전략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리스크 파악
  • 기후변화로 인한 각 분야별 영향 지속적 모니터링
  • 법령과 정책 동향, 이해관계자 의견 등 산업 및 운영 리스크 파악
리스크 및
기회요인 결정
  • 리스크 영향 예상 시점 (단기,중기, 장기)와 재무적 영향도 파악
  • 식별된 리스크와 기회요인에 대한 평가
리스크
대응방안 제시
  • 식별된 리스크에 대한 실무팀 의견 수집
  • ESG전략에 기반한 리스크 대응 전략 마련
리스크 관리 및
기회 포착
  • 대응방안에 따른 리스크 관리 진행 여부 평가
  • 향후 추진과제 수립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 대응 전략

PI첨단소재는 향후 경영활동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되어 예상되는 리스크와 재무적인 영향을 파악했습니다. 파악된 리스크에 대해 선제적인 대응을 진행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서도 노력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기후변화를 고려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PI첨단소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좌우로 움직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리스크 요소 예상리스크 잠재적 재무영향 대응방향 기간
물리적
리스크
Acute 극한 기상 이변 증가
(홍수/태풍 등)
태풍, 장마 등으로 인한 침수 등 자연재해 발생에 따른
사업장 및 기반 시설 손실
사업장 손상으로 인한 생산 지연으로
경제적·물리적 손실 발생
비상대응체계 구축 및 정기 안전점검 실시
유연한 생산 계획 수립
기후 변화 리스크 대응 시스템 구축
단기
Chronic 기온 상승
물 부족 등의 자원고갈
제조 시설 내 냉각 및 환기 시스템에 부담으로 에너지 비용 증가
자원 고갈
전력 사용량 증가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 에너지 효율화 및 저탄소 기술 투자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중장기
전환
리스크
정책 및 규제 온실가스 규제 및 탄소세
도입으로 인한 탄소 가격 상승
탄소 가격에 상승에 따른 배출권 구매 비용 증가 감축 기술 투자 및 사업 비용 증가 공정 개선 및 프로세스 재구성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 추진 중장기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공시 의무 확대 및 강화 Scope 1,2 외 Scope 3에 대한
공시의무 확대에 따른 정보 정확성에 대한 리스크
시스템 구축 및 데이터 수집에 대한 비용 증가 Scope3 배출량 측정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배출량 정보의 투명성을 위한 검증 필수
중장기
환경 규제 강화 사업장 내외의 환경에 대한 규제 강화 위법 행위 적발 시 벌금 부과 및 제재 발생 ESG 경영 체계를 통한 법률 검토 및 정책 반영 단기
시장 및 기술 탄소 발자국 감축 목표 설정 및 실행 요구 고객 요구 미대응시
시장 점유율 하락 등 리스크 발생
저탄소 발생 에너지원 사용 확대 제품 탄소 발자국 산정으로 주요 배출
source 분석, 해당 정보 기반으로
중장기
평판 글로벌 환경 이니셔티브 요구 기업에 대한 대내외 평가 영향 투자 철회 및 고객 상실 발생 글로벌 이니셔티브 대응 및 정보공개 검토
(CDP, TCFD 등)
단기